교육/AI 인공지능융합교육 (7) 썸네일형 리스트형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 (2023.6) 교육을 새로고침, 나답게 배운다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 AI 디지털 교과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40&boardSeq=95278&lev=0&m=020201 [카드뉴스] 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 발표(6.8.) 이제껏 본적없는 새로운 교과서가 찾아옵니다!AI 디지털교과서 추진방안 발표(6.8.)AI 디지털교과서란?AI 기반 진단·분석 → 학생: 최적의 학습경로와 맞춤처방 및 지원제공→ 학부모: 학업성취, www.moe.go.kr AI 디지털 교과서에서 제공될 핵심 서비스 [ 학생 ] ① 학습 진단 및 분석 ② 학생별 최적의 학습경로 및 콘텐츠 추천 ③ 맞춤형 학습지원(AI 튜터) [ 교사 ] ④ 수업설계와 맞춤 처방 지원(AI 보.. [AI·SW융합교육] 인공지능 기술로 사회문제 해결하기(인파감지경보알리미 만들기) D o I t Y ourself! D o A I with Y ou! DIY! 오늘 소개해드릴 에듀테크 활용 수업내용은 바로 인파가 몰려있을 때 자동으로 경보 알림을 보내주는 지능형 CCTV! 나도 만들 수 있다~!! 입니다. 수업 내용은 6학년을 기준으로 짜보았지만 초4~중,고등학교까지 모두 활용 가능합니다. 전라북도 교육청 에듀테크 에디터 Ed2 학교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에듀테크 활용 교육 자료를 개발.보급하여 수업혁신을 위한 디지털 기반의 수업모형(모델) 및 교수.학습 활용 자료 지원 디지털 기반 수업혁신 및 수업방법 개선을 위한 지원 자료 발굴.개발 에듀테크 및 각종 교육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 지원 교수.학습 자료 보급 저작권 및 지식재산권 보호를 통한 학교 현장의 교수.학습 활동 지원 1. 활용..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 AI를 활용한 디지털 교육으로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시대’ 연다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2023. 2.23.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이 발표되었다. 2020년 11월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안과 핵심과제, 2022년 8월 디지털인재양성 종합방안에 이어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분야의 변화와 혁신을 필요성에 따라 마련된 세번째 교육혁신 방안이다.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여 교육분야도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마련되었으며,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자신의 역량과 배움의 속도에 맞는 ‘맞춤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학생 한 명 한 명을 소중한 인재로 키우고, 교사들이 학생과의 인간적 연결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성,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융합역량 등 디지털 시대의 핵심역량을.. Chat GPT; 챗 GPT ChatGPT 란? ChatGPT는 오픈AI가 개발한 AI(인공지능) 언어 모델이다. 그것은 텍스트 기반 입력에 대한 인간과 같은 반응을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다. 작동 방법 ChatGPT를 작동하려면 제공된 입력 필드에 질문이나 문장과 같은 텍스트 기반 입력을 입력해야 한다. 최대한 자세히, 구체적으로 적을 수록 정확도 높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 그런 다음 ChatGPT는 인간 언어의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대해 훈련된 기계 학습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응답을 생성한다. 영어로 질문했을 때 대답 속도가 빠르다. 한국 정부에서 10억원을 들여 Chat GPT를 위한 우리말 언어꾸러미를 원칙 ChatGPT는 자연어를 이해하고 생성하기 위해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자연어 처리(NLP)의.. 인공지능시대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인공지능시대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2020.11)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사회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그 뱡향으로 어떻게 진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 담긴 보고서이다. 급변하는 사회 변화 속도에서 미래에 필요한 인재와 신산업 성장에 기여할 인재는 물론, 그 외 절대 다수의 평범한 사회구성원 모두를 위한 교육 정책임을 보고서에 명시하고 있다. (본 블로그의 모든 이미지 출처: 인공지능시대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인공지능시대교육정책방향 3가지 1. 감성적 창조 : 인간 중심 사고에 바탕을 두고 새 구조를 만드는 인재육성 2. 초개인화 학습환경: 학습자 한 사람의 특성, 환경, 수준, 상황에 맞춘 학습 환경 3. 따뜻한 지능화: 똑똑한 기술을 포용적으로 사용하..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교육부분 정리(2022.8 발표 내용) 1. 추진 배경 □ 디지털 신산업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집중 지원 긴요 □ 디지털 전환 시대, 디지털 교육혁명 요청 증대 ☞ 디지털 대전환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양성 필요 (국정과제 81) 교육이 과학 기술을 따라 잡지 못하는 구간에 사회적 고통이 일어남.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이라고 볼 수 있음. 2. 현재 정책 상황 □ 디지털 분야 인재양성 ◦ (역량 수준) 우리나라 성인(16~65세)과 청소년(만 15세)의 디지털 역량(문해력) 수준은 OECD 평균보다 약간 낮은 수준 (OECD PIAAC, PISA) ◦ (수급규모) [공급]디지털 분야 인재양성 규모는 정부의 재정사업 기준 연 9만 9천여명으로, 이 중 석‧박사급은 1만 7천여명 수준(’21년 기준) - [수요]SW·AI 등 디지털 산업 분야.. OECD의 미래 교육과 기술 2030 - 개념학습 틀 https://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aims to help education systems determine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students need to thrive in and shape their future. www.oecd.org 2030년 기대-행동-반성 주기(AAR) AAR(예상-행동-반성) 주기는 학습자가 지속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개선하고 집.. 이전 1 다음